본문 바로가기

NURSING/Physiological Nursing 생리학

체액 Body Fluid

체액 Body fluid

 

1. 물의 기능

- 몸의 약 60% 구성

- 무기물과 유기물의 용매

- 가수분해의 매질

- 쿠션작용 (CSF)

- 물질 운반체 역할

 

2. 체액 구획

- 총 체액 Total Body Fluid, TBF 60%

  세포내액 Intracellular Fluid, ICF 40%

  세포외액 Extracellulat Fluid, ECF 20%

    간질액 Interstitial Fluid, ISF 15%

    혈장 Plasma 5%

    체강액 Transcellular Fluid, TCF 2% (뇌척수액, 관절액, 림프액, 안방수 등)

 

- 세포내액

  양이온 : K+, Mg2+

  음이온 : 단백질, 유기인산염 (ATP, ADP, AMP)

 

- 세포외액

  양이온 : Na+

  음이온 : HCO3-, Cl-

 

- 혈장 : 알부민 albumin, 글로불린 globulin (혈장단백질)

- 간질액 : 단백질 제외한 혈장 성분

 

- 영향인자 : 낮은 연령, 남성, 낮은 지방함량

 

3. 체액 조성

- 각 구획마다 농도 차이 → 전기적 중성 유지

- 세포외액 삼투질 85% Nacl

- 세포내액, 외액 삼투압 300mOsm/L

 

4. 체액 삼투압 osmotic pressure

- 삼투 osmosis

: 반투막 통해 저농도 → 고농도로 물 분자 이동

 

- 삼투질 농도 osmolarity

: 1 Osm/L = 1000 mOsm/L

 

- 용적 변화 cellular volume change

: 저장액 hypotonic → 용적 증가, 부풀어오름 swelling

: 등장액 Isotonic → 변화없음

: 고장액 hypertonic → 용적 감소, 축소 shrink

 

- 체액 구획 사이 수분 이동

: 기본 원리 → ICF, ECF 삼투질의 농도 같음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농도 변하면 수분 이동

ex) 생리 식염수 주입 → 세포외액 증가, 농도변화 없음, 수분이동 없음 → 등삼투성 체액 팽창

     출혈, 화상 → 세포외액 감소, 농도변화 없음, 수분이동 없음 → 등삼투성 체액 감소

    땀으로 수분 과다 소실 → 땀은 저삼투성, 세포외액량 감소, 세포외액 농도 증가 → 고삼투성 체액 수축

     염화나트륨 과다섭취 → 세포외액 농도 증가 → 고삼투성 체액 팽창

    부신피질 기능 부족 (구토,설사) → 알도스테론 결핍, 수분보다 염화나트륨 배설, 세포외액 농도감소, 세포외액량 감소 → 세포내액 농도 감소, 세포내액량 증가 → 저삼투성 체액수축

    항이뇨호르몬 ADH 분비 이상 증후군 → 과도한 수분축척으로 세포외액량 증가, 농도 감소 → 세포외액에서 세포내액으로 물 이동 →세포내액 농도 감소, 량 증가 → 저삼투성 체액팽창

 

- 수분 중독 water intoxication

: 불안, 섬망, 혼수, 뇌세포 부종 등 신경계 증상

 Na 농도 < 120mEq/L 시, 치사율 50%

 격한 운동 후 갈증해소 위해 물을 바로 섭취하기 보다, 운동 전과 후 20분 간격으로 200ml 물 서서히 섭취

 생수보다 염분이 들어간 이온 음료 또는 보리차 섭취

 

5. 체액조절

- 세포외액 전체 300 mOsm/L

- 신장 통해 Nacl 조절

 

① 삼투성 조절

- 항이뇨 호르몬 ADH : 시상하부의 삼투수용기 osmoreceptor → 세포외액 농도 증가시, 수분 재흡수

- 갈증중추 thirst center : 시상하부에서 삼투질 증가시, 갈증유발하여 수분 섭취 유도

- 레닌-안지오텐신 알도스테론계 RAAS : 나트륨 농도 증가시, 레닌 분비하여 나트륨 재흡수 증가

 

② 비삼투성 조절

- 용적 수용체 : 심방의 용적 증가 또는 신전 시, ADH 억제하여 체액량 감소

- 압수용체 : 전신 용적 증가 또는 혈압 증가시 ADH 조절

  경동맥 : 동맥압 감소 감지하여 항이뇨 호르몬 분비

  대동맥궁 : 동맥압 증가 감지하여 항이뇨 호르몬 억제

- 카테콜아민 : 혈량 감소하면 교감 작용으로 혈관 수축 및 레닌 분비

- 심방 이뇨 호르몬 Atrial Natriuretic Peptide, ANP : 혈량 증가로 심방 신전시 ANP 분비하여 나트륨 배설 및 체액 감소

 

6. 체액균형

 

- 수분 균형 : 수분 섭취량 = 수분 배설량

- 수분 섭취와 무관하게 불감성 수분소실 존재

- 완전 금식의 경우, 성인 10일 정도 생존 가능

- 최저 수분 요구량 200ml

- 1도 상승 시, 300ml 더 요구됌

'NURSING > Physiological Nursing 생리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내분비생리 - 시상하부와 뇌하수체  (0) 2020.08.03
내분비생리 - 개요  (0) 2020.08.01
체온조절  (0) 2020.07.20
에너지 대사  (0) 2020.07.20